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항암치료 부작용 '구강염' 극복을 위한 필수 꿀팁

by strongerme 2025. 3. 12.

항암치료 후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 중 하나인 '구강염'은 구강 내 점막에 염증이 생겨 통증, 궤양, 입안 건조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. 구강염은 식사와 대화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감염 위험도 증가시킬 수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 본 글에서는 항암치료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구강염을 극복하는 꿀팁과 효과적인 관리법을 소개합니다.


구강염이 발생하는 원인

1. 항암치료(화학요법, 방사선치료)의 영향

  • 항암제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빠르게 분열하는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미쳐 구강 점막 손상을 일으킵니다.
  • 특히 구강 점막 세포는 회복 속도가 빠르지만, 항암제로 인해 재생이 어려워지면서 염증이 생깁니다.
  • 방사선치료 시 입과 목 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침샘 기능 저하와 구강 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2. 면역력 저하

  • 항암치료로 인해 백혈구 수치가 감소하면 구강 내 세균과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져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.
  • 입 안의 상처나 궤양이 쉽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.

3. 구강 위생 부족

  • 통증과 불편함으로 인해 양치질을 소홀히 하면 세균 증식으로 구강염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.
  • 치은염, 치주염 등 다른 구강 질환을 일으켜 염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
구강염 극복을 위한 꿀팁과 관리법

1. 구강 청결 유지

  • 부드러운 칫솔 사용: 칫솔모가 부드러운 제품을 사용해 자극을 최소화합니다.
  • 저자극 치약 선택: 알코올이나 민트 성분이 강한 치약은 피하고, 불소가 함유된 순한 치약을 사용합니다.
  • 가글 사용: 알코올이 들어 있지 않은 항균 가글을 이용해 구강 내 세균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.
  • 염수 가글: 따뜻한 물 1컵에 소금 반 티스푼을 녹여 하루 3~4회 가글하면 염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
2. 구강 점막 보호

  • 입안이 건조하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셔줍니다.
  • 침 분비를 촉진하는 무설탕 껌이나 사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수분 공급이 좋은 젤 타입의 인공 타액을 사용하면 구강 건조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입안을 헹굴 때 뜨겁거나 차가운 물 대신 미지근한 물을 사용합니다.

3. 식사 시 주의사항

피해야 할 음식

  • 자극적인 음식: 매운 음식, 산도가 높은 과일(오렌지, 레몬 등), 식초가 들어간 음식
  • 거친 식감의 음식: 견과류, 딱딱한 빵, 감자칩 등은 구강 점막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.
  •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: 온도가 극단적인 음식은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추천하는 음식

  • 부드러운 음식: 미음, 스프, 죽, 푸딩, 요거트 등 소화가 쉽고 점막을 보호해 줍니다.
  • 영양가 높은 음식: 두부, 계란찜, 바나나, 아보카도, 부드러운 과일을 추천합니다.
  • 미지근한 음식: 따뜻한 물이나 미지근한 음료, 식은 음식이 구강에 자극을 덜 줍니다.

4. 충분한 수분 섭취

  • 구강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하루 1.5~2L의 물을 마십니다.
  • 수분이 많은 과일(수박, 참외)이나 야채(오이)를 섭취하는 것도 좋습니다.
  • 커피, 탄산음료, 알코올은 탈수를 유발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
5. 구강염 완화를 위한 자연요법

  • 꿀: 항균 효과가 있어 구강염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물에 희석하거나 직접 바를 수 있습니다.
  • 알로에 베라: 상처 치유 효과가 있어 구강 궤양에 바르면 진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  • 카모마일 차: 염증을 줄이고, 미지근하게 마시면 구강 점막에 자극이 적습니다.

구강염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

1. 금연과 금주

  • 담배와 알코올은 구강 점막을 자극하고 면역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.
  • 특히 항암치료 중에는 구강 세포 재생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금연, 금주가 필요합니다.

2. 적절한 실내 환경 유지

  • 실내 습도를 40~60%로 유지하면 구강 건조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수건을 걸어두어 공기가 건조하지 않도록 합니다.

3. 스트레스 관리

  • 스트레스는 면역력을 떨어뜨려 구강염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습니다.
  • 명상, 가벼운 산책,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좋습니다.

구강염이 심해졌을 때 대처법

  • 통증이 심하거나 궤양이 악화될 경우 주치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처방을 받습니다.
  • 구강 내 스테로이드 겔, 진통제, 항균 구강 세척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발열, 심한 통증,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.

결론

항암치료 후 구강염은 흔히 발생하는 부작용이지만, 올바른 구강 관리와 생활 습관을 통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. 구강 청결을 유지하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며, 구강 점막을 보호하는 식사법을 실천하면 구강염 증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. 심한 통증이나 궤양이 지속된다면 주치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